반응형
/usr/local/bin 으로 이동
1. vi /usr/local/bin/tomcat_check.sh
2. 아래내용 작성
STATUS=$(curl -o /dev/null -w "%{http_code}" "http://127.0.0.1:80/")
#127.0.0.1:80 으로 명시했지만 80 자리에 사용중인 포트번호를 입력한다. 포트는 톰캣/conf/server.xml에서 확인 가능
if [ $STATUS -ne 200 ];
then
echo "$(date) tomcat dead"
톰캣경로/bin/shutdown.sh
sleep 15
톰캣경로/bin/startup.sh
echo "$(date) tomcat restart"
else echo "$(date) tomcat alive"
fi
3. sh권한 변경
chmod +x tomcat_check.sh
4. crontab 설정
#tomcat 살아있나 체크하고 죽어있으면 기동
*/5 * * * * /usr/local/bin/tomcat_check.sh >> /usr/local/bin/tomcat_check.log
4번설정으로 5분마다 sh파일을 돌려 톰캣 상태를 확인하고 200(실행중)이 아니면 재기동하는 것 이다. echo는 log 파일에 쌓인다.
사용중인 crontab 확인은
crontab -l
명령어로 확인이 가능하다.
@추가적으로
curl -I "http://127.0.0.1:80"
if문에서 사용하는 -ne 200은 위 명령어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정상작동하면
로 나온다. 간혹 리다이렉트 설정? 이 걸려있으면 302로 나온다.
sh파일을 작성후 crontab 적용 전 위 명령어를 사용해서 상태값이 200으로 나오는지 확인하고 진행하는 것이 좋다
반응형
'개발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Query] 유튜브 iframe 동적 생성 (0) | 2022.11.25 |
---|---|
[Ubuntu] 스프링으로 리눅스서버 메일전송 (0) | 2022.10.31 |
Window Tomcat ssl 적용하기 (0) | 2022.10.17 |
로그인 후 이전페이지 이동 Referer (0) | 2022.09.29 |
ajax form 한번에 보내기 (0) | 2022.07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