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SL란
Windows Subsystem for Linux 이며 윈도우 마켓에서 우분투18.04 버전을 설치하였다.
설치후 apt update를 통해 패키지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준다
apt install apache2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치
설치 후
service apache2 start
service apache2 status
명령어로 시작 후 상태를 확인한다.
이후 localhost 또는 127.0.0.1 로 확인을 한다
* 기본포트 80 사용
그 후 로컬에서 8081, 8082의 톰캣을 구동 시킨다.
/etc/apache2/sites-available/000-default.conf 에서 프록시패스 설정으로 로컬에서 돌리는 2개의 톰캣을 포트 구분없이 접근 가능하도록 구현할 것이다.
Location과 proxyPass 를 이용하여 2개의 포트를 사용 하도록 하고있다.
URL에 / 로 접근시 사용자 81포트로 가도록하였으며
/mnt로 접근시 관리자 82포트를 바라보도록 구현함.
127.0.0.1로 접근 시
127.0.0.1/mnt 로 접근 시
ssl 하나로 두개의 프로젝트에 사용할수 있지 않을까 하고 시도해본 것.
( 기존에 사용하던 방법은 이상하게 크롬에서만 적용되지 않았음 )
추후에 더 좋은방법이 나와 의미없었음.
문제점도 생각보다 많이 나옴
스프링 requestmapping 구분을 위해 jsp나 redirect할때 /mnt를 추가시켜줘야 했음.
'개발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Burp Suite] Burp Suite 프록시 도구 사용법 (파라미터 위변조) (2) | 2023.04.14 |
---|---|
[docker] 윈도우 ubuntu로 docker 설치하기 (0) | 2023.03.08 |
리눅스 톰캣, 방화벽 에러 (0) | 2023.01.26 |
[ssl] SSL 인증서 갱신하기 (한국전자인증) (0) | 2022.12.13 |
[Spring]CSRFTOKEN 란? (0) | 2022.12.09 |